- 목차
야구를 보다 보면 주자가 2루나 3루로 뛰었을 때, 수비수가 공을 떨어뜨리거나 송구 실수를 하며 주자가 세이프되는 장면을 자주 보게 됩니다. 이럴 때마다 팬들이 궁금해하는 것이 바로, “지금 저건 도루야? 실책이야?”라는 점이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실책으로 인한 진루가 도루로 인정되는지, 그 기준과 예외 상황까지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
도루(SB)의 정의
공식 기록상 도루(Stolen Base)는 다음 조건을 만족할 때 인정됩니다:
- 투수가 공을 던지는 동작 중, 주자가 자력으로 다음 루로 진루
- 수비의 실책, 폭투, 패스트볼 없이 명확히 주루 성공
즉, 도루는 주자의 순수한 스피드와 판단으로 성공한 경우에만 기록됩니다.
실책이 발생하면 도루로 인정될까?
결론부터 말하면, 실책이 개입되면 해당 진루는 도루로 기록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도루 시도 중 포수의 송구가 빗나가 주자가 세이프가 됐다면, 이는 ‘실책에 의한 진루’로 간주됩니다.
하지만 중요한 예외가 있습니다:
- 도루 시도 자체가 성공적이었다면, 실책이 있더라도 도루로 인정
- 이 경우, 추가 루 진루(예: 2루 → 3루)는 실책에 의한 진루로 따로 기록
공식 기록 예시
- 주자가 1루에서 2루로 도루 시도
- 포수가 2루에 송구했으나 약간 빗나감
- 심판 판정상 주자는 슬라이딩으로 충분히 세이프
→ 이 경우엔 도루로 인정됩니다.
반면, 주자가 아웃 타이밍이었지만 포수의 송구 실수로 살았다면?
→ 도루가 아닌, 실책으로 인한 진루로 기록됩니다.
도루 & 실책이 동시에 발생하는 상황
1루 주자가 2루로 도루 성공 → 이어지는 실책으로 3루까지 진루한 경우:
- 2루까지: 도루(SB)
- 3루까지: 실책(E)로 인한 추가 진루
공식 기록에는 각각 분리되어 기록됩니다. 이처럼 야구는 모든 주루 상황을 원인과 결과로 나누어 기록하는 스포츠입니다.
참고: 도루가 인정되지 않는 기타 사례
- 폭투(WP)나 패스트볼(PB)로 진루
- 포수의 실책으로 인한 루 진루
- 타자의 삼진, 사사구 등과 함께 발생한 진루 중 일부 상황
이 경우에도 도루는 인정되지 않습니다.
도루는 주자의 '자력 승부'일 때만!
야구 기록에서는 '도루'와 '실책'의 차이를 명확히 구분합니다. 실책이 개입하면 도루로 인정되지 않으며, 이는 타자의 기록, 팀 작전 성공률, 통계 분석 등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앞으로 경기를 보실 때, "저건 도루일까 실책일까?"를 구분해보는 재미도 느껴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