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를 보다 보면 해설자가 “지금은 슬라이더가 들어갔네요”라고 말하는 걸 자주 들을 수 있습니다. 슬라이더는 투수가 던지는 변화구 중 가장 널리 사용되며, 타자의 헛스윙을 유도하거나 약한 타구를 유도하는 무기입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슬라이더의 정의, 특징, 궤적, 활용법 까지 정리해드립니다. 슬라이더란? 슬라이더(Slider) 는 투수가 던지는 변화구 중 하나로, 직구와 유사한 속도로 날아오다가 타자 앞에서 수평으로 꺾이는 궤적 을 그리는 공입니다. 쉽게 말해, 패스트볼처럼 시작해 커브처럼 휘는 하이브리드성 변화구입니다. 슬라이더의 궤적 오른손 투수 기준 → 타자의 바깥쪽(우타자 기준)으로 횡방향 이동 수직 낙차는 작고, 수평 슬라이드가 특징 직구보다 약간 느리지만, 커브보단 빠름 (보통 125~140km/h) 타자는 직구인 줄 알았다가 막판에 옆으로 빠지면서 헛스윙 을 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슬라이더 vs 커브 vs 체인지업 구종 속도 궤적 주요 목적 슬라이더 중간 (130km 내외) 수평으로 휘어짐 헛스윙 유도, 바깥쪽 승부 커브 느림 (110~120km) 수직으로 크게 떨어짐 타이밍 교란, 낙차 승부 체인지업 패스트볼보다 10~15km 느림 속도 차 + 약간 하강 속도 차이로 타이밍 무너뜨림 슬라이더의 장점 속도와 궤적의 중간 지점 : 직구와 구분 어려움 투수가 제구만 된다면 삼진 유도력 강함 우타자 상대 특화 – 바깥쪽으로 빠지는 궤적으로 헛스윙 유도 슬라이더의 단점 제구가 흔들리면 맞기 쉬운 공 회전이 부족하면 커브나 직구와 쉽게 구분됨 잘못 던진 슬라이더...
- 목차
야구 중계를 보다 보면 심판이 손을 위로 뻗으며 “페어!”를 외치는 장면을 볼 수 있습니다. 이때의 페어볼(Fair Ball)은 타구가 경기 규칙상 ‘살아있는 타구’로 인정되었음을 뜻하는 판정입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야구의 기본이 되는 이 페어볼의 정의와 판단 기준을 쉽게 설명해드립니다.
페어볼이란?
페어볼(Fair Ball)은 타자가 친 공이 경기장 안(페어 지역)으로 떨어지거나 굴러서 정상적인 플레이가 가능한 ‘살아있는 공’을 의미합니다. 즉, 경기가 계속 진행되는 타구를 말하죠.
페어볼 판정 기준
- 내야 타구: 베이스 앞에서 그라운드에 떨어진 타구가 1·3루 라인 안쪽으로 굴러가면 페어
- 외야 타구: 타구가 떨어지는 지점이 1루 또는 3루 라인을 기준으로 안쪽이면 페어
- 직선 타구: 타구가 베이스를 직접 맞고 튀는 경우도 페어
- 타자 또는 주자를 맞은 경우: 맞은 위치가 페어 지역이면 페어로 판정
※ 타구가 먼저 땅에 닿기 전에 파울 라인 안쪽(페어 지역)에 떨어지면 무조건 페어입니다.
파울볼과의 차이
많은 분들이 헷갈려 하는 부분이 바로 페어볼 vs 파울볼인데요, 그 차이를 간단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페어볼 | 파울볼 |
---|---|---|
타구 위치 | 1루와 3루 라인 안쪽 | 라인 바깥쪽 또는 라인 밖으로 벗어난 타구 |
경기 흐름 | 계속 진행 | 플레이 중단, 파울 처리 |
타자 처리 | 뛰어야 함 | 스트라이크 혹은 무효 |
심판의 페어볼 판정
페어볼은 1루심과 3루심이 주로 판정합니다. 타구가 라인을 타고 굴러갈 경우, 굴절 지점이나 떨어진 곳의 위치를 빠르게 확인하고 ‘페어!’를 외치며 양팔을 앞으로 뻗는 제스처를 취합니다.
대표적인 페어볼 상황
- 내야 땅볼이 라인 위로 살짝 굴러가다 1루 베이스를 맞고 튀는 경우
- 외야 타구가 파울 라인과 가까운 지점에 떨어져도 안쪽에 떨어졌다면 무조건 페어
- 강습 타구가 타자를 지나 베이스 안쪽에 떨어져 수비가 플레이하면 페어
주의할 점
관중석에서는 파울처럼 보여도, 실제로는 라인 안쪽에 떨어졌다면 페어일 수 있습니다. 또한 타구가 바운드 없이 외야에 떨어지면, 떨어진 지점만이 페어/파울을 판단하는 기준입니다.
페어볼은 야구에서 경기가 계속되느냐, 멈추느냐를 가르는 가장 중요한 타구 판정입니다. 페어/파울 구분은 단순한 라인 판정보다 더 큰 경기의 흐름을 좌우하죠. 다음 경기에서는 타구가 떨어지는 위치와 심판의 판정에 주목해보세요. 야구가 훨씬 더 재미있게 보일 것입니다!